위탁출판계획(안).hwp
붙임 1.
2024년 특별전시 도록 『상상의 동물사전 –백제의 용龍』 위탁출판 계획(안) |
0000000000000 |
□ 발간 목적
ㅇ 특별전시 대표 전시품과 관련 자료를 수록하여 관람객의 전시 이해도 증진
ㅇ 최신 연구성과를 수록하여 일반인과 전문가가 모두 활용할 수 있는 대중적인 교육도서로서의 역할 수행
□ 편집 방향
ㅇ 전시품의 상세도판과 해설을 수록한 쉽고 재미있는 개설서로 구성
ㅇ 백제 용 관련 3D데이터 자료 등 최신 연구성과를 한눈에 조명
□ 발간 개요
ㅇ 종류: 도록(1종)
ㅇ 발간방식: 위탁출판
ㅇ 제작사양(안) * 제작 세부사항 및 인쇄부수 등은 업체 선정 후 협의를 통해 결정
- 규격: 46배판(B5용/190×260mm), 내지 랑데부(130g), 옵셋 4도(표지 6도)
- 면수: 210쪽 내외
- 도판: 유물사진(100컷), 참고사진(50컷) 수록(예정)
ㅇ 인쇄부수(예정): 1,000부
ㅇ 발간일정: 2024년 10월 31일(목)까지
□ 발간 방식
ㅇ 우리 관이 출판 계획 수립, 출판제안서 공모 및 평가, 위탁출판 사업자를 선정하여 출판 추진
ㅇ 우리 관이 원고 및 사진을 위탁출판업체에 제공, 내용 감수 및 디자인을 검토하고 출판물에 대한 저작권 보유
ㅇ 위탁출판업체는 도록 편집, 제작, 유통 등 출판에 따른 제반경비 부담
ㅇ 위탁출판업체는 제작과 관련한 사항 일체를 우리 관과 협의하여 추진
ㅇ 위탁출판업체는 계약기간 동안 판매권을 보유하고 우리 관은 소요 예정 부수 구입
□ 도록 구성(안)
대주제 |
소주제 |
내 용 |
매수 |
일러두기 및 목차 등 |
7 |
||
인사말 |
국립공주박물관장 |
2 |
|
프롤로그 |
책을 열며 –이 책의 사용법 |
4 |
|
Ⅰ 모든 것은 상상(想象)에서 시작한다. - 상상의 동물, 용 |
사슴의 뿔부터 호랑이의 발까지 - 생김새 |
용의 생김새와 관련한 단서 (개요) 물질자료와 기록에서 확인되는 용의 기원 (도판 및 해설)공룡뼈, 호랑이, 악어, 뱀 등 동물 표본 (참고자료) 기원전 6,000년 전의 용, 하남 서수파유적 용호묘(龍虎墓), 기록에서 확인되는 용의 생김새, 상상의 동물을 정리한 책, 『산해경(山海經)』 |
10 |
초자연적 힘을 가진 존재 - 능력과 종류 |
기이한 모습과 신이한 조화능력을 갖고 있는 다양한 용 (개요) 물질자료와 기록에서 확인되는 용의 능력과 종류 (도판 및 해설)범종, 향로, 문고리, 용두치미 등 (참고자료) 기록에서 확인되는 용의 능력과 종류 |
20 |
|
위에서 내려온 용, 아래에서 올려다본 용 -상징과 역할 |
왕권과 권위, 벽사와 길상, 불법수호의 상징, 용 (개요) 물질자료와 기록에서 확인되는 용의 상징과 역할 (도판 및 해설) 『용비어천가』, 용무늬거울, 일월십이지도 등 (참고자료) 조선시대 사람들은 용이 있다고 믿었을까? |
20 |
|
Ⅱ 상상을 현실로 만들다 - 백제 용의 시작과 완성 |
백제사람들이 용을 만났을때 - 계통과 배경 |
고대 한반도 용의 기원 (개요) 백제 이전, 한반도 용의 출현배경 (도판 및 해설)금제교구, 청동온주준, 반룡경 등 |
10 |
[칼럼 1] 용은 중국에만 있었을까? - 북방초원에서 발견된 용 관련 유물 |
2 |
||
평면에서 입체로 구현하다 - 제작방식과 도상의 변화 |
한성기~사비기 백제 유물에 표현된 용 (개요) 유물에 표현된 용 도상 비교 및 제작방식 소개 (도판 및 해설)무령왕릉 출토 용봉문환두대도, 은팔찌 등 (참고자료) 백제 용 관련 유물 분포지도, 백제 용을 구현한 사람: 다리(多利) |
50 |
|
[칼럼 2] 금동관모, 금동신발에서 확인되는 용 문양 비교 |
4 |
||
[칼럼 3] 백제·가야 환두대도에 나타나는 용 도상 비교 |
4 |
||
닮은 듯 다른 모습 - 도깨비와 용 |
용과 비슷한 요소를 갖고 있는 도깨비 (개요) 용과 도깨비 도상의 공통점과 차이점 (도판 및 해설)풍납토성 귀신얼굴무늬 수막새, 부여 외리 도깨비무늬 전돌 등 (참고자료) 백제에서 용과 함깨 존재했던 상상의 동물들 |
10 |
|
Ⅲ 현실과 상상의 세계를 잇다 - 백제 용의 역할 |
미래를 예견하는 힘 - 기록에 적힌 용 |
기록에서 확인되는 백제 용의 특징 (개요) 선과 악이 공존하는 용의 모습 (도판 및 해설)『삼국사기』 (참고자료) 『삼국사기』, 『삼국유사』에서 보이는 백제 용(龍) 관련 기록 |
6 |
물의 주인 - 물을 다스리는 물건과 함께 발견된 용 |
물을 다스리는 신성한 존재 (개요) 물을 다스리는 용의 특성 (도판 및 해설)공주 수촌리 2지점 1호 토광묘 출토품 일괄, 풍납토성 경당지구 206호 우물 출토 토기 등 (참고자료) 바다, 우물에 제사를 지내다 |
15 |
|
[칼럼 4] 농업과 경제권의 상징물, 살포 |
2 |
||
백제사람들이 꿈꾼 이상세계 -용과 함께 표현된 다양한 상징들 |
백제 사람들이 표현하고 싶었던 이상향 (개요) 용과 함께 표현한 상상의 동물을 비롯한 도상들에 대한 해석 (도판 및 해설)무령왕릉 출토 은제탁잔, 부여 외리 출토 전돌 일괄 등 (참고자료) 공주 송산리 6호분, 부여 능산리 1호분(동하총) 사신도 |
15 |
|
[칼럼 5] 무령왕릉 출토 은제탁잔과 백제금동대향로 도상 비교 |
4 |
||
백제 유민들이 남긴 염원 -백제 멸망 이후의 용 |
백제의 멸망과 부흥운동을 함께 한 용 (개요) 백제의 멸망, 그리고 그 이후 백제유민들의 활동과 용 (도판 및 해설)계유명천불비상 (참고자료) 뱀(나가)에서 용으로, 백제 용 관련 설화 등 소개 |
6 |
|
에필로그 |
책을 닫으며 |
4 |
|
부록 |
참고문헌/도판목록/초록(국,영,중,일문)/판권 |
15 |
|
총 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