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4년도 업무계획(국립공주박물관).hwp
2024년도 주요 업무계획 |
2023. 11. 27.
|
국립공주박물관 |
Ⅰ. 2023년 평가 1 1. 성과 1 2. 한계 7 Ⅱ. 2024년 주요업무 계획 9 1. 정책환경 9 2. 대응방향 10 3. 주요업무추진계획 11 3-1. 웅진백제문화 재조명을 위한 전시‧조사‧연구 강화 11 3-2. 웅진백제문화 콘텐츠 발굴‧수집 및 효율적인 관리 14 3-3. 특성화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‧운영 14 3-4. 보편적 문화복지를 위한 문화향유 지역 균형 15 3-5. 적극적인 콘텐츠 개방으로 온라인 소통 강화 17 3-6. 즐거움과 힐링이 있는 다양한 교육·문화행사 개최 18 3-7. 안전하고 품격 있는 박물관을 위한 환경개선 21 3-8. 안전하고 효율적인 소장품 보존‧관리 23 3-9. 지역문화 콘텐츠 발굴 및 아카이브 구축 26 3-10. 유관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 및 협력 활성화 26
|
2024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 |
[ ]
Ⅰ. 2023년 평가 |
1 |
성과 |
□ 웅진백제문화 특성화 확산
ㅇ (특별전시) 웅진백제문화 특성화 연계 특별전시 개최 및 운영
- ‘1500년 전 백제 무령왕의 장례’(’23.9.19.~’24.2.18.)
* ▲(전시품) 무령왕 묘지석 등 126건 690점 ▲관람객: 65,002명(‘23.11.12. 기준)
- ‘백제 귀엣-고리-자세히 보아야 예쁘다’(’22.9.27.~’23.2.26.)
* ▲(전시품) 무령왕귀걸이 등 354건 1,043점 ▲관람객: 146,525명(‘23년 관람객: 34,080명)
ㅇ (상설전시) 전시 환경 개선 및 문화취약계층 관람 서비스 강화
- (웅진백제실) 특별전 ’1500년 전 백제 무령왕의 장례‘ 개최에 따른 주요 유물 재전시 및 도입부 영상 공개
- (디지털 실감 영상관) ‘무령왕릉 1,448년간의 이야기’ 운영
* 관람객: 25,468명(’23.10.31. 기준)
ㅇ (학술행사) 특별전 ‘1500년 전 백제 무령왕의 장례’ 연계 학술행사
- (콜로키움) 특별전 연계 세부 연구주제 강연 및 토론(‘23.10.20.)
* ▲‘죽은 이를 위해 특별히 만든 신발(나선민)’ 등 발표 6명 ▲참석자 20여 명
- (연계 특강) 특별전 연계 심화주제에 대한 대중 강연(2회)
* ▲‘고대 한국인의 생사관과 무령왕릉(나희라_10.31.) ▲참석자 50여 명
* ▲‘무령왕릉과 백제의 상장의례(박순발_11.23.)
ㅇ (스마트 박물관)
- 웅진백제문화 아카이브 운영 및 추가 DB 업로드
· 아카이브 시스템 운영, DB 명세 보완 및 추가 업로드(410,314건)
- 3D 가상현실(VR) 콘텐츠 제작: 웅진백제실, 웅진백제 어린이체험실, 특별전 ‘1,500년 전 백제 무령왕의 장례’ 등 3건
□ 문화격차 해소 및 문화취약계층 문화향유 서비스 확대
ㅇ (서비스 공간 구축) 기증실 및 충청남도역사문화실 일부 공간 개편, 문화취약계층 대상 영상 및 촉각전시품 제작(‘23.12.)
ㅇ (키오스크 구축) 시각장애인, 저시력자, 외국인 등 문화취약계층을 위한 키오스크 콘텐츠 제작 및 설치(5대), 무령왕릉 출토 주요 문화재 대상 수어 영상 및 자막, 다국어 서비스 제공
ㅇ (촉각전시품 제작) 묘지석, 매지권, 목관 등 특별전시 연계 촉각전시품 제작 및 활용(3건 4점)
□ 유관기관 네트워크 구축 및 협력 활성화
ㅇ 대전·세종·충남지역 박물관·미술관 홍보 강화
- 박물관·미술관 안내지도(문화 IN 지도) 제작·배포(93개기관/45,000부)
- 박물관·미술관 안내지도 백제문화제2023.9.23.~10.9. 행사장 배포(20,000부)
ㅇ 대전·세종·충남지역 박물관·미술관 공동프로그램 운영
- <무령왕이 되어 보자> 교구상자 대여(6개 기관 640명 수혜)
ㅇ 박물관 운영물품 배부(유물보관용 오동나무상자 38개, 돋보기 13개)
ㅇ 백제문화유산 주간2023.7.8.~7.13. 공동운영
- 백제왕도추진단, 국립박물관, 지자체 등 9개 기관 공동운영
ㅇ 지역문화기관 공동 강좌 실시
- 가루베 지온 유물을 찾아서(국립공주박물관회/공주향토문화연구회) 등 2회
ㅇ 대전·세종·충남 국공립·대학박물관(미술관) 워크숍 개최
- 일정: 2023. 12. 5.(화) 11:00~17:00
- 내용: 협력망 사업 성과 공유, 의견청취 및 신사업발굴
□ 소장품 관리
ㅇ (국가귀속문화재 관리)
- 인수: 공주 마곡사 상원암지 등 92개 유적 10,311점
- 등록: 아산 북수리(389번지) 공동주택부지내 유적 등 62개 유적 6,674점
- 대형소장품 상자 포장 및 격납: 107건 119점
- 위탁보관: 세종대박물관 등 9개 기관 44개 유적 11,902점
· 경기도자박물관 4개 유적 481건 481점 위탁보관 승인(11.8.)
- 임시보관품 운송 지원
· 한림대학교박물관 강화조선궁지 3차 유적 105건 157점(1,144천원)
ㅇ (기증·기탁)
- 수증: 최00 토기 등 8건 8점
- 수탁문화재 반환: 남이웅 진공신 교서 등 68점
ㅇ (대여)
- 특별전시 대여
· 부산정관박물관: 귀면문 마루기와(공주33589) 등 5건 8점
·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: 도기잔(공한18763) 등 14건 14점
· 고창고인돌박물관: 돌화살촉(공주33551) 등 1건 3점
- 장기대여: 한성백제박물관 등 17개 기관 751건 1,129점
ㅇ (임시이관)
- 중앙박물관 고고역사부: 흑유양이부병(공주12102) 등 5건 7점
- 중앙박물관 전시과: 분청사기인화접시(고적20380) 등 1건 3점
- 부여박물관
· 계양산성박물관 위탁보관 목간(공위-계양-223) 1건 1점
· 원와당(신수2031) 등 1건 42점 임시이관 기간 연장
- 진주박물관: 조총(공주800) 등 7건 11점
ㅇ (정보 관리)
- 소장품 정보 공개: e-뮤지엄 6,674점 공개
- 소장품 정보 현행화 및 오류정정: 5회(1,139건 2,283점)
ㅇ (무령왕릉 출토품 정리)
- 소장 구분 코드(무령) 부여 및 미등록품 등록을 위한 종합 정리
* ‘24년 등록 예정: 무령1 진묘수 ~ 무령741 전돌, 741건 5,232점
ㅇ 소장품 안전관리 강화 교육 실시(2회)
ㅇ 복제품 신규등록: <무령왕귀걸이> 등 4건 6점(복공주42~복공주45)
□ 충청권역수장고 안정화 및 활성화
ㅇ (임시보관) 충청권역수장고 12,008점 임시보관
- 7수장고(부여): 12. 6.~12. 7. 이전 격납 예정
- 6수장고(청주): 8,537건 12,008점(12. 13.~12. 14. 추가 이전격납 예정)
- 임시보관 누계
구분 |
2022 |
2023 |
누계 |
|||
건 |
점 |
건 |
점 |
건 |
점 |
|
부여박물관 |
6,160 |
9,282 |
0 |
0 |
6,160 |
9,282 |
청주박물관 |
24,503 |
25,707 |
8,537 |
12,008 |
33,040 |
37,715 |
총계 |
30,663 |
34,989 |
8,796 |
12,008 |
39,200 |
46,997 |
ㅇ (수장고 안내) 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 등 28회(문서 17건) 129명
ㅇ (홍보물) 충청권역수장고 리플렛 및 활동지 제작 배포
리플렛 |
활동지 |
|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□ 소장품 보존 관리
ㅇ (소장품 보존처리 및 조사분석)
- 보존처리: 국가귀속등록품 환두대도(공한5860) 등 262점
- CT조사 및 분석조사: 분청사기인화문장군(공주32185) 등 22점
ㅇ (옥외전시) 석조문화재 정밀현황조사 및 보존처리
- 석가여래좌상(공주320) 99건 142점 암종분석 및 정밀점검, 보존관리 현황기록부 작성(*분기별 점검시 활용예정)
- 옥외전시 석조문화재‧이전복원유구의 보존처리 및 보수정비를 통한 소장품 안정성 확보
ㅇ (협력망) 지역 유관 기관 보존과학적 지원
- 대전‧세종‧충남 소재 국‧공‧사립‧대학박물관‧미술관 소장품 훈증지원
* 윤봉길의사기념관 등 3개 기관 62건 86점
□ 교육 프로그램 운영
ㅇ (어린이체험실) 체험 교구재 2종 신설(진묘수·귀걸이 체험)
* 이용인원 35,789명(’23.11.12. 기준)
ㅇ (교육프로그램) 23종 139회 19,339명(23.11.12. 기준)
- (어린이)제15기 공주어린이박물관학교(4.8.~11.25./13회차)
- (성인)제5기 공주박물관대학-인문학으로 보는 세계유산(4.26.~7.12, 7회차)
- (학교연계-진로체험) 박물관 꿈상자(4월~7월, 초-중등)
- (대학생-매개자교육)청년멘토(4월~11월/공주사범대 및 교육대학생)
- (충청권역수장고) 수장고 보고, 보물 보고(연중, 상시)
- (취약계층)모두 같이 즐겨요(10.6.~11.3/3회-공주시장애인복지관 협력)
ㅇ (특별전시 연계) ’거울아 거울아 청동거울아, ‘1500년 전 백제 어린 공주의 그림일기 활동지’ 등 5종 운영
□ 어린이박물관 건립 준비
ㅇ 어린이박물관 건축기획용역(23.3.13.~9.18.)
- 설계지침서, 과업지시서, 조감도 제작, 공공건축 사업계획 사전 심의 완료
ㅇ 국내 어린이박물관 자료 수집
- 파주 놀이구름, 서울 상상나라, 고양어린이박물관 등
□ 어린이체험실 대기공간 조성
ㅇ 어린이체험실 앞 대기 공간 및 사진 촬영 구역(포토존) 설치로 관람객 편의 제공
□ 박물관 소장도서 및 발간도서 아카이브 구축
ㅇ 소장도서의 격납공간 추가 확보 및 체계적 분류에 따른 DB구축으로 효율적 관리체계 마련
ㅇ 박물관 발간도서의 아카이브 구축자료 제작(E-BOOK 35종/ PDF 37종)
ㅇ 박물관 발간도서 무료 나눔 행사 운영(2023.5.18.~5.31.)
-『古代의 王京과 王宮』등 도록, 보고서, 자료집 등 25종 2,182권
□ 품격있는 다양한 문화행사 프로그램 운영
ㅇ 평소 지역에서 접하기 힘든 대중성과 예술성을 겸비한 품격있는 공연을 제공함으로써 시민의 문화 향유 기회 확대 및 관람 만족도 제고
* 유명방송인 ‘다니엘린데만’ 피아노 공연, 체코소년합창단 내한공연 등
ㅇ 매달 다양한 장르의 문화공연을 개최하여 박물관이 열린 문화공간이라는 이미지 확립, 정기적인 방문 유도
* 재즈, 비보잉, 마술, 뮤지컬, K-밴드 등 총 9개 공연 개최, 3,181명 참여
※ 특히,「앤서니브라운의 우리가족」연극공연에는 관내외 소외계층 100여명을 초청, 29명이 관람함으로써 희망과 용기의 메시지를 심어주는 성과를 거둠
ㅇ 유아부터 성인, 가족 등 다양한 수요층을 겨냥한 문화 프로그램 기획 및 추진
* 유아국악체험, 브런치콘서트, 걷기행사 등
□ 시설 개선 및 안전관리 강화, 누리집 전면 개편
ㅇ 본관 로비 확장(195㎡) 및 환경 개선으로 실외 전시 석조유물 실내이전 설치 여유 공간 확보 및 관람객 휴게공간 조성
- 관람객 안내창구 재배치, 문화상품점 이전설치, 고객지원팀 사무실 신규 설치 등
- 정부미술은행 작품 대여 로비 전시(2점)
ㅇ 방재실 확장(59.4㎡) 및 방범 장비 추가 설치 등 재난 및 안전 인프라 확충으로 시설 안전관리 강화
ㅇ 각종 시설 점검 및 위험성 평가 컨설팅 등을 통한 사업장 안전관리 확보
- 건축물 정기안전점검 시행(상‧하반기 각 1회), 기계설비 성능점검 등 법정검사 실시(11종)
- 안전관리 위탁점검(매월), 위험성 평가 컨설팅 실시(6월) 및 위험요인 시정조치(11월)
ㅇ 누리집 전면 개편에 따른 대국민 온라인 소통 강화
- 사용자 편의성 개선(모바일, SNS 등) 및 아카이브 연계 기능 제공
2 |
한계 |
□ 어린이박물관 건립예산 확보 필요
ㅇ 건립 기본계획
- (사업기간/면적) 2025~2028 / 3,600㎡
- (사업비) 233억원(건축 13,490백만원, 설계 853백만원, 감리 1,148백만원,
전시물조성 등 7,808백만원)
※ 연도별 필요예산: (‘25) 3억원(’26) 50억원 (‘27) 43억원 (’28) 137억원
ㅇ 추진현황
- ’20년도 어린이박물관 건립 기본계획 연구용역 실시
- ‘22년도 중기재정 내역 반영
- ‘23년도 건축기획용역 실시
- ’24년도 예산 미반영 * 기획재정부 사전타당성 평가 대상사업 선정 누락
□ 옥외 CCTV 카메라 부족
ㅇ (부족한 점) 박물관 대지면적 대비 옥외 CCTV카메라 설치수량 부족
- 건물 후면, 정문 일부 사각지역 존재로 시설방호 및 신속한 대응 어려움
ㅇ (개선방안) 고화질 CCTV 카메라 추가 설치 및 저화질 카메라 교체 필요
Ⅱ. 2024년 주요업무 계획 |
1 |
정책 환경 |
□ 외부 환경변화
ㅇ 윤석열 정부, 「지방시대 종합계획(2023~2027)」발표(‘23.10.31.)를 통한 지역 균형발전 의지 강력 표명
- 지역 고유의 문화‧관광 육성 및 이를 촉진할 수 있는 핵심 인프라 확충
ㅇ 세종 국립박물관 단지(75,000㎡)*내 건축면적 4,891㎡(지하1층 ‧ 지상2층) 규모 체험중심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어린이박물관 개관예정(‘23.12월말)
⇒ 우리 관 만의 특색있고, 차별화된 어린이박물관(웅진백제와 무령왕릉 주제 콘텐츠 전시) 건립추진 취지 재정 당국 적극 설득하여 24년도 예산 반영 필요
*어린이박물관, 도시건축박물관, 디자인박물관, 디지털문화유산센터, 국가기록박물관 등 5개 박물관 2027년까지 완공예정
□ 내부 환경변화
ㅇ 부처 내 최고 정책리더‘문화격차 해소 및 지역균형 발전’의지 강력 표명
- (장관)‘지역을 문화로 꽃피운다’는 목표 아래 계층‧지역 간 문화격차를 해소하고 문화가 중심이 되는 지역균형발전을 이끌겠음.
- (차관) 국립문화시설의 점차적 확충과 지역 구석구석에 고품격 문화 서비스를 제공하겠음.
- (관장)‘지역적 제한으로 인한 소외계층’을 위한 업무, 즉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사업(지역을 위한 특별전 기획 및 순회 등) 개발해 주기 바람.
⇒ 우리 관 만의 차별화된 전시 및 품격있고 수준 높은 문화행사 등 준비 필요
2 |
대응방향 |
설립 목적 |
웅진 백제문화를 중심으로 충청남도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·전시 |
||||||
비전 |
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열린 문화공간 |
전략 목표 |
전략 과제 |
|
박물관 특성화 (웅진백제문화) 강화 |
o웅진백제문화 재조명을 위한 전시·조사·연구 강화 o웅진백제문화 콘텐츠 발굴·수집 및 효율적인관리 o특성화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·운영 |
|
공감과 감동이 있는 열린 문화공간 |
o보편적 문화복지를 위한 문화향유 지역균형 o적극적인 콘텐츠 개방으로 온라인 소통 강화 o즐거움과 힐링이 있는 다양한 교육·문화행사 개최 o안전하고 품격 있는 박물관을 위한 환경 개선 |
|
지역 역사·문화 연구 중심 기관 |
o안전하고 효율적인 소장품 보존·관리 o지역문화 콘텐츠 발굴 및 아카이브 구축 o유관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 및 협력 활성화 |
3 |
주요업무 추진계획 |
3-1. 웅진백제문화 재조명을 위한 전시‧조사‧연구 강화 |
□ 상설전시관 충청남도 역사문화실 부분 개선
ㅇ (목적) 2017년 개편 이후 노후화된 전시시설을 부분 개선하여 최신 연구 성과를 반영하고 안전하고 쾌적한 관람환경 조성
* 10월25일 공주 지진(진도규모 3.4) 관련, 면진진열장 제작설치로 전시품 안전 관리 강화
ㅇ (사업 대상) 국립공주박물관 충청남도역사문화실(682.00㎡)
ㅇ (주요 내용) 고대국가 백제 전시 및 영상 상영 공간 재구성
- 웅진성 영상 상영 공간을 전시 공간으로 변경
- 공주 수촌리, 천안 용원리 유적 등 한성백제기 충청남도 지역세력 관련 전시 공간 조성
- 전시품 변경에 따른 전시그래픽 재구성
* 백제 한성기 주요 유적 분포지도, 공주 시내 주요 유적 분포지도 등
ㅇ (세부 사항) 진열장 제작· 설치 및 그래픽 추가 제작
- 금동관모, 금동신발, 중국도자 등 우리 관 대표 소장품 전시를 위한 진열장 및 그래픽 제작
※ 추진일정
세 부 내 용 |
월 별 일 정 |
|||||||||||
1 |
2 |
3 |
4 |
5 |
6 |
7 |
8 |
9 |
10 |
11 |
12 |
|
연구자료 수집 |
||||||||||||
전시기획안 작성 및 검토 |
||||||||||||
전시품 실사 |
||||||||||||
전시품 보존처리 |
||||||||||||
전시인테리어 및 그래픽 |
□ 특별전시“백제의 용(가제)”개최
ㅇ (전시 목적) 2024년 용의 해를 기념하여 백제의 다양한 유물에서 확인되는 용의 상징적 의미 고찰
ㅇ (전시 기간) ’24. 9. 10.(화) ~ 12. 15.(일) (예정)
ㅇ (전시 대상) 무령왕릉 출토 용봉문환두대도 등 150여 점
ㅇ (주요 내용) 고대 백제 용의 등장과 확산
- 백제의 발전과 위기의 순간을 함께 한 용의 상징적 의미 고찰
- 과학적 분석연구를 바탕으로 제작 방법 및 특징 등 조사 연구성과 반영
※ 추진일정
세 부 내 용 |
월 별 일 정 |
|||||||||||
1 |
2 |
3 |
4 |
5 |
6 |
7 |
8 |
9 |
10 |
11 |
12 |
|
전시품 실사 |
||||||||||||
전시기획안 작성 및 검토 |
||||||||||||
전시 원고 작성 및 번역 |
||||||||||||
도록 제작 |
||||||||||||
영상, 디지털 콘텐츠 제작 |
||||||||||||
전시인테리어 및 그래픽 |
||||||||||||
전시품 운송 |
||||||||||||
전시 |
□ 특별전시“1500년 전 백제 무령왕의 장례”운영
ㅇ (전시 목적) 무령왕 서거 1500주년을 기념하여 백제 왕실 상장문화 조명
ㅇ (전시 기간) ’23. 9. 19.(화) ~ ‘24. 2. 18.(일)
ㅇ (전시 대상) 무령왕릉 출토 묘지석 등 백제 왕릉 출토품 126건 690점
□ 무령왕릉 신보고서-종합편‘한 권으로 보는 무령왕릉(가제)’발간
ㅇ (목적) 신보고서(Ⅰ~Ⅶ/’09~‘21년) 발간 성과를 종합・정리한 대중서 발간으로 무령왕릉 출토품에 대한 우리 관 50년의 조사・연구 결과를 한눈에 조명
ㅇ (추진내용)
- (발굴편) 발굴조사(1971) 및 실측조사(1996/2003) 결과 소개(도판)
- (보고편) 연구・분석결과를 주요 성과별로(Ⅰ~Ⅶ)로 정리 소개(도판)
- (유물편) ’무령‘ 코드로 새롭게 정립된 출토품 전량 상세 소개(번호순)
- (참고편) 무령왕릉 계기별 연구성과 결과물 소개(특별전, 50주년 등)
□ 백제 권역 출토 중국 도자 연구(2024~2026년)
ㅇ (목적) 백제 권역 출토 중국 도자에 관한 종합 연구
ㅇ (주요 내용) 백제 권역 출토 중국 도자 현황 및 특징
ㅇ (향후 계획) 관내 연구자 중심 정기 연구모임 추진
- 연차별 추진 계획
구분 |
`24년 |
`25년 |
`26년 |
|||
추진 전략 |
국내 자료 조사 |
→ |
국외 자료 조사 |
→ |
국내외 자료 종합연구 |
|
조사 |
백제 권역 중국 도자 출토 현황 조사 |
중국 남경 및 항저우 출토 도자 자료 조사 |
백제 한성~사비기 도자의 유입과 확산 연구 |
|||
공유 |
콜로키움 |
콜로키움 |
국제학술대회 |
□ 백제 은제품 생산기술 연구(2024~2026년)
ㅇ 실물자료 대비 기존 연구자료가 미비한 백제시대 은제품의 생산과 제작기술 관련 조사연구 토대 마련
- (대상) 무령왕릉 출토품을 중심으로 한성‧웅진‧사비기 백제지역 은공예품 및 은생산 관련 자료
- (내용) 기초자료 수집, 과학적 분석, 제작기법 연구, 국내‧외 비교연구
* ’24년: 기초자료 조사, 조사분석(무령왕릉 출토품), ‘25년: 생산기술 연구, 조사분석(한성, 사비기 지역출토품), ’26년: 고대 은제품 비교연구, ’27년: 자료집, 학술대회
3-2. 웅진백제문화 콘텐츠 발굴‧수집 및 효율적인 관리 |
□ 웅진백제문화 디지털 아카이브 운영
ㅇ 웅진백제문화 관련 자료의 집약적이고 효율적인 관리 및 대국민 공개 서비스 활성화
* 데이터: 410,314건(약 10TB 용량/‘23.11월 기준)
ㅇ 아카이브 DB 운영 및 추가 업로드
- 안전한 서버 운영(KT 클라우드 대전IDC 센터)(계속)
- 단계적 대국민 공개 서비스: 문화재 자료 및 발간물 등(계속)
3-3. 특성화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‧운영 |
□ [신규] 우리 학교에 찾아온 <무령왕릉>
ㅇ(추진내용) <무령왕릉 교육상자>를 활용한 찾아가는 체험교육 프로그램 운영
ㅇ(대상) 문화시설 접근성 취약 지역 초등학교 *계룡, 서천, 논산, 홍성
*근거: 『2022년도 문화기반시설 총람』, 아르떼 맵 ‘우리동네 예술터’ 현황
ㅇ(기간) 2024. 3.~11.(월 1회) * 8월 방학 중 제외
□ <무령왕릉 교육상자> 대여로 지역문화 이해 교육
ㅇ(추진내용) <무령왕릉 교육상자>로 지역문화 이해 교육 실시
ㅇ(대상) 대전·세종·충남 지역 소재 박물관·미술관
* 2022, 2023년 미대여 기관 우선 접수
ㅇ(기간) 2024. 4.~11.(월 1개 기관 대여)
※ 추진일정
세 부 내 용 |
월 별 일 정 |
||||||||||||
1 |
2 |
3 |
4 |
5 |
6 |
7 |
8 |
9 |
10 |
11 |
12 |
||
우리 학교에 찾아온 <무령왕> |
계획수립 |
||||||||||||
대상지역 참여안내 공문발송 |
|||||||||||||
대상학교 선정 |
|||||||||||||
사업 진행 |
|||||||||||||
결과보고 |
|||||||||||||
무령왕릉 교육상자 |
계획수립 |
||||||||||||
대여기관 모집 |
|||||||||||||
교구상자 사전 교육 |
|||||||||||||
사업진행 |
|||||||||||||
결과보고 |
3-4. 보편적 문화복지를 위한 문화향유 지역 균형 |
□ [문화격차 해소 지역순회 전시]
ㅇ (전시 목적) 서울·수도권에 집중된 문화 불균형 극복을 위한 문화 향유 기회 제공으로 문화만족도 제고
- 권역별 지방 순회전시 충청권역 순회(1개 관 예정)
- 관할지역 내 개최지 선정, 순회전 패키지 설치 및 운영, 전시 연계 교육·문화행사 지원
□ [지역문화 특별전시]“제주 동자석(가제)”개최
ㅇ (전시 목적) 지역별 특색있는 문화 소개 및 지역문화 가치 확산을 위한 전시 개최
- 제주 동자석의 역사성과 예술성을 조명하며 제주 문화 소개
ㅇ (전시 기간) ‘24. 5.~7.
ㅇ (전시 대상) 제주박물관 특별전 ’가장 가까운 위로-제주 동자석, 그리고 영월 나한상‘ 출품 동자석(제주665) 등 20여 점
□ [지역문화 강화] 중요 국가지정문화재 실내 전시 추진
ㅇ 공주 반죽동/중동 석조(보물) 실내 이전 준비
- 대상: 반죽동 석조(공주313) 등 2점 * 現 옥외보호각 내 위치
- 안전 관리 및 활용성 향상을 위하여 본관 실내(메인 로비)로 이전 전시
※ 추진일정
세 부 내 용 |
월 별 일 정 |
|||||||||||
1 |
2 |
3 |
4 |
5 |
6 |
7 |
8 |
9 |
10 |
11 |
12 |
|
자문회의(이전방안, 처리범위 검토 등) |
||||||||||||
현상변경 허가 신청 및 심의 절차 |
□ [소장품 활용] 신규 입수 지역문화재 공개
ㅇ (목적) 주요 인수 국가귀속문화재 공개로 지역별 역사·문화 자원에 대한 이해 제고
- 전시명: <우리지역 문화재 재발견(공주)>, <이목집중 문화재(공한)>
- 장소: 충청권역수장고 내 모음(1층)
- 대상: 인수보관 국가귀속문화재 중 선정
- 개최 주기: 연 2회
□ [교육] 지역 문화유산 찾기 <교과서에서 나온 문화유산>
ㅇ (내용) 충남 시·군별 대표 공립박물관과 함께 지역 문화유산과 연계한 협력사업 운영
- 각 시·군별 대표 문화유산 선정*(각 지역 대표 공립박물관) 및 임무를 부여한 활동지 제작 배포(시군 교육지원청 협력)
→ 활동 완료자에게 소정의 기념품 제공(시‧군별 선착순 100명**)
* 초등 3~4학년 교육과정 ‘문화유산과 박물관’에 수록된 문화유산
** 1,600명(16개 시‧군 × 100명)
ㅇ (대상) 시·군별 공립박물관 / 초등 3~4학년(약 40,000명)
ㅇ (기간) 2024. 4.~11.(기념품 소진시 조기 종료)
□ 문화취약계층 문화향유 서비스 강화
ㅇ (목적) 장애인, 어린이 등 문화취약계층의 문화예술 향유권 확대 및 효과적인 문화재 소개를 위한 최신 IT 기술 활용 서비스 강화
ㅇ (추진내용)
- (키오스크 고도화) 다양한 문화취약계층을 아우를 수 있는 키오스크 콘텐츠 고도화 진행. 음성 및 수어 인식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한 박물관 안내 및 전시품 설명 서비스 제공
3-5. 적극적인 콘텐츠 개방으로 온라인 소통 강화 |
□ 온라인 홍보채널 다변화
ㅇ SNS 홍보 통한 관람객의 접근성 강화(연중)
- 상설 및 특별 전시, 교육, 문화행사 등 박물관 소식을 다양한 SNS에 게시
* 유튜브, 페이스북, 인스타그램, 카카오톡, 블로그 등 SNS 채널 다양화
ㅇ 특색있고, 형식을 파괴한 웹진 발행을 통한 신규 관람층 유인(매월)
ㅇ 누리집을 이용한 온라인 소통 기능 강화(연중)
- 교육‧문화행사 예약 시스템과 SNS 채널 연계하여 홍보 효과 강화
- 실감형 콘텐츠(VR), 동영상 등 온라인 박물관 콘텐츠 적시 제공
ㅇ 누리집 우수 관람 후기 선정 이벤트 실시(매월)
- 우수 관람후기를 선정하는 이벤트를 실시하여 누리집 방문 유도
- 선정된 우수 관람 후기를 박물관 홍보 콘텐츠 등에 활용
ㅇ 박물관 영상 콘텐츠 제작(연중)
- 박물관의 다양한 정기·비정기 행사에 대한 영상 콘텐츠 제작
- 기존 박물관 홍보용 영상물을 현행화하고 SNS·누리집 등에 게시하여 관람객에 박물관의 다양한 소식을 알릴 수 있는 계기 마련
□ 소장품 온라인 공개(e-museum)
ㅇ 소장품 정보 공개 서비스 유물 등록 및 공개
- 유물 명칭 등 기본정보 확인 및 오류 수정 등 정확한 자료 제공
ㅇ 소장품 고화질 이미지 자료 구축
- 주요 소장품 고화질 사진촬영 및 e-뮤지엄 공개 * ‘24년 5,000건 예정
□ 디지털 뮤지엄 운영(VR)
ㅇ 상설전시 및 특별전시 VR 제작 및 온라인 공개(누리집)
- 충청남도 역사문화실 개선 내용 반영 VR 제작
- 특별전시 “백제의 용(가제)”, “제주 동자석(가제)” 신규 VR 제작
3-6. 즐거움과 힐링이 있는 다양한 교육·문화행사 개최 |
□ 누구나, 같이 누리는 문화누림 문화행사 개최
ㅇ 계기별 문화행사 및 이벤트 진행
- 설날, 가족의 달, 여름방학, 크리스마스 등 계기별 테마에 맞춘 문화행사 개최
ㅇ 어디서나, 공정하게 문화를 향유하는 문화누림 공연 개최
- 수도권에 편중된 유명 예술인 공연 유치 및 개최
*팬텀싱어 출연진 야외 콘서트, 유명 뮤지컬 배우 조인 공연 등
- ’우리학교에 온 무령왕릉‘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박물관이 없는 문화소외지역(충남권)의 학교에서 어린이 기획 공연 개최(1~2회)
*마술쇼, 어린이 체험극 등
ㅇ 일상에서 즐기는 문화! ’문화가 있는 날‘ 주간 ’선율이 흐르는 박물관‘ 프로그램 운영
- 새로 조성된 박물관 로비공간에서 지역예술인들에게 공연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문화예술 발전 기여 및 내방 관람객들에게 예술감성 자극
- 바이올린, 첼로, 통기타, 전자피아노, 국악기 등 월별 다양한 장르의 악기공연 제공
- 상시 공연을 통해 정적인 공간에서 동적인 요소를 가미한 박물관으로 변모
ㅇ 참여·체감형 문화행사 운영
- 참여·체감형 문화행사를 통해 관람객에게 새로운 문화적 경험 제공
*어린이 체험공연, 전문 문화해설사와 함께하는 문화유적답사 등
![]() |
![]() |
||
야외 공연 |
뮤지컬 배우 조인공연 |
||
|
|
|
|
지역예술가 로비 콘서트 |
참여형 문화행사(1) |
참여형 문화행사(2) |
※ 추진일정 (일정 변동가능)
세 부 내 용 |
월 별 일 정 |
|||||||||||
1 |
2 |
3 |
4 |
5 |
6 |
7 |
8 |
9 |
10 |
11 |
12 |
|
계기별 행사·이벤트 |
||||||||||||
로비 상설 공연 |
||||||||||||
찾아가는 공연 |
||||||||||||
야외 공연 |
||||||||||||
체험 문화행사 |
□ 진로체험 등 다양한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운영
ㅇ 박물관이 학교 교육과정 속으로(3종)
프로그램 명 |
대상 |
운영방법 |
운영시기 |
내용 |
알·재·무 |
초등 4~6학년 |
비대면 |
학기중/월~금요일 |
무령왕릉에 대한 온라인 사전학습 및 체험활동 |
진로체험<박물관 꿈상자> |
중학생 |
대면 |
8월~11월 |
학예연구사에 대한 체험 활동 및 업무공간 견학 |
<무령왕이 되어보자> 교구상자 대여 |
초등5~6학년 |
대면 |
학기중 |
무령왕릉 교구상자 대여 |
ㅇ 매개자를 위한 박물관 관람 팁(2종)
프로그램 명 |
대상 |
운영방법 |
운영시기 |
내용 |
[신규] 꿀팁, 웅진백제 |
교사/인솔자/ 부모님 |
비대면 |
7월~12월 |
박물관 관람을 위한 사전학습 및 사후 활동 자료 제작 및 온라인 배포 |
국립공주박물관 청년멘토 |
대학생 (예비교사) |
대면 |
4월~11월 |
박물관 교육프로그램 활동 참관 및 보조교사 활동 |
ㅇ 장애인과 함께 박물관 즐기기(3종)
프로그램 명 |
대상 |
운영방법 |
운영시기 |
내용 |
모두 같이 즐겨요 |
공주장애인복지관 이용자 |
대면 |
협의중 |
주제가 있는 전시품 관람 및 다양한 체험활동 |
[신규] 어린이체험실 점자안내문 설치 |
어린이 |
대면 |
5월~7월 |
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안내문 설치 등 |
[신규] 무령왕릉 이야기 큰 글자책 제작 |
저시력자 및 어린이 |
어린이체험실 및 박물관내 비치 |
5월~10월 |
저시력자 및 어린이를 위한 무령왕릉 주제의 책 제작 |
ㅇ 매력적인 박물관(5종)
프로그램 명 |
대상 |
운영방법 |
운영시기 |
내용 |
방학 프로그램 |
어린이 동반 가족 |
대면 |
1~2월 7~8월 |
방학에 즐기는 박물관 |
구석구석 수장고 탐험 |
어린이 동반 가족 |
대면 |
1~2월 7~8월 |
충청권역 수장고를 탐방하며 수장고에 대한 이해 |
제6기 공주박물관대학 |
성인 |
대면 |
5월~7월 |
공주박물관에서 만나는 세계의 공주(예정) |
유퀴즈 GO GO |
누구나 |
비대면 |
1월~12월 |
상설전시품에 대한 퀴즈 풀이 |
특별전시 연계프로그램 |
누구나 |
대면 |
특별전시 기간 중 |
특별전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|
3-7. 안전하고 품격 있는 박물관을 위한 환경 개선 |
□ 석조 정원 신규조성
ㅇ 故이건희 기증 석조문화재 중심 옥외 전시 구성
- “지킴”을 주제로 박물관 특징과 연결되는 이야기가 있는 정원 조성
ㅇ 대상: 장명등(No. 8936) 12건 12점, 해태상(No. 8933) 9건 14점 등,
기존 옥외전시 석조문화재 상태점검 후 이전 설치
ㅇ 일정: ’23~‘24년(2개년) * ’23년 사업 기반조성 및 공사비 확보, ‘24년 이전 설치
ㅇ 위치: 충청권역수장고 동쪽 정원(황색선 내)
□ 옥외전시장 석조문화재 전시 개편
ㅇ 옥외전시 석조문화재 표면, 균열, 환경 등 정밀 점검
ㅇ 전시품 상태, 전시 효과 등을 기준으로 전시대상 재선정 및 배치
- 대상: 아미타여래좌상 등 석조문화재 65건 84점
□ 어린이박물관 건립 추진
ㅇ 어린이박물관 건립을 위한 어린이 시설 자료조사(‘24.2.~8.)
- 어린이 전용 시설 자료 조사(경기북부 어린이박물관, 국립박물관 어린이박물관 등)
- 문화 취약층 접근성 향상을 위한 자료 조사(스페이스 살림, 헤이그라운드 등)
ㅇ 어린이 관람객 현황 및 어린이 박물관에 대한 인식 설문조사(’24.2.~11.)
□ 안전하고 쾌적한 관람 및 업무환경 구축
ㅇ 본관 노후 화물승강기 교체
- 승강기 노후(20년 사용) 및 안전센서 교체불가 등으로 근무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교체
ㅇ 옥외 CCTV 카메라 교체 및 신설
- 노후 카메라 교체 및 감시 사각지역 추가 설치로 시설보호 및 신속한 대응 기대
ㅇ 충청권역 수장고 및 본관 사무동 옥상 방수공사 추진
- 이상기후에 따른 여름철 집중호우 피해 사전 예방
ㅇ 본관 로비 후면 야외 휴게공간 조성
- 로비 확장 및 환경개선에 따라 로비 후면에 관람객 휴게공간 조성
ㅇ 정보보안 및 네트워크 환경 개선 추진
- 노후된 장비‧시설 교체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근무환경 조성
※ 추진일정 (일정 변동가능)
세 부 내 용 |
월 별 일 정 |
|||||||||||
1 |
2 |
3 |
4 |
5 |
6 |
7 |
8 |
9 |
10 |
11 |
12 |
|
화물승강기 교체 |
||||||||||||
옥외 CCTV카메라 교체 및 신설 |
||||||||||||
충청권역 수장고 및 본관 사무동 방수공사 |
||||||||||||
로비 후면 야외 휴게공간 조성 |
||||||||||||
정보보안 및 네트워크 환경 개선 추진 |
3-8. 안전하고 효율적인 소장품 보존‧관리 |
□ 본관 수장고 운영
ㅇ 소장품 전수조사: 보존상태 전수조사 지원
ㅇ 시설 및 설비 보완
- 4수장고 정리 및 격납장 재배치
- 미전시 석조물 격납상자 제작 및 하역장 중량랙 설치
- 1~3수장고 수장고 내부 제습기 교체
□ 충청권역수장고 운영
ㅇ 권역별수장고 고유기능 강화
- 부여박물관(7수장고), 청주박물관(6수장고) 등록 소장품 이전 격납 활성화
ㅇ 전시형 격납장 보관 소장품 안전 관리 강화
- 누림, 모음, 서랍장 격납품 안전관리 강화
- 지진 대비 안전성 강화 대책 마련 시행
- 5수장고 공조 설비 개선(1분기 내 실시)
- 수장고 내외부 하자보수 요청 및 진행
ㅇ 대국민 서비스 기능 활성화
- 개방성 강화 및 작은 전시 등을 마련할 수 있는 <모음>공간 개선
- 수장고를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는 중층 휴게 공간 마련
□ 국가귀속문화재 관리·활용
ㅇ (소장품 등록 및 공개) 용인 봉명리(산11-2번지) 관광농원 개발사업부지 내 유적 출토품 등 5,000점(예정)
ㅇ (국가귀속문화재 인수·관리)
- 인수: 평택 자미산성 2차 등 6,000점(예정)
- 위탁: 여주박물관, 안양박물관 등 진행(예정)
□ 무령왕릉 출토품 재등록
ㅇ 무령왕릉 출토품 신규 ‘무령’ 코드 재등록
- 대상: 공주619-공주726
- 내용: 조사·연구 성과 반영 명칭, 수량 등 정보 수정(상반기 중)
* 무령1 진묘수 ~ 무령741 전돌, 741건 5,232점 등록 예정
□ 소장품 고화질 이미지 공개
ㅇ 소장품 고화질 이미지 촬영 및 재등록
- 대상: 전시순위<상> 소장품 1,394건
□ 소장품 보존처리 및 분석
ㅇ 소장품 보존처리
- 상설개편 전시대상품 수촌리 출토 금동관모 등 보존처리 200여 점
- 공산성 출토 목곽고 보존처리(수지함침처리 중, ‘27년 완료예정)
ㅇ 소장품 조사분석
- 무령왕릉 출토품 성분분석 및 제작기법 조사 100여 점
- 지역 중요 출토품 등 소장품 3차원 디지털 원형 자료 확보
ㅇ 보존환경 조성
- 수장고 및 전시실 보존환경 점검 및 환경변화 대응
- 수장고 생물피해 방재(IPM) 및 훈증소독 진행
※ 추진일정
세 부 내 용 |
월 별 일 정 |
|||||||||||
1 |
2 |
3 |
4 |
5 |
6 |
7 |
8 |
9 |
10 |
11 |
12 |
|
전시대상품 및 국가귀속품 보존처리 |
||||||||||||
소장품 조사분석(성분분석, CT 등) |
||||||||||||
옥외전시품 보존 상태 정기 점검 |
||||||||||||
보존환경 조성 |
□ 소장품 보존상태 전수조사 (국감 지적사항 관련)
ㅇ 소장품의 체계적인 보존처리 대책 수립 및 전시활용도 제고를 위한 보존상태 조사
- 대상: 본관 수장고(4개소) 격납품(총 52,671건 122,229점)
- 보존 상태에 따른 보존처리 등급 분류(A-D등급)
* (A)보존처리 시급, (B)처리가 필요하지만 긴급하지 않음, (C)상태양호; 보존상의 문제없음, (D)참고자료;원형 복원 불가능
- 수장고별 순차 진행. 금속품과 유기물 우선 실사
* (’24)금속제-1수장고, (‘25)지류‧목제-4수장고, 토‧석제-3수장고, (’26~‘27)2수장고
3-9. 지역문화 콘텐츠 발굴 및 아카이브 구축 |
□ 지역민 자긍심 고취를 위한 지역문화 조사·연구·전시
ㅇ 충남 지역 사찰 등 지역문화 콘텐츠 조사 및 아카이브 구축
ㅇ ’충남의 사찰Ⅰ- 수덕사‘ 특별전 등 지역문화 관련 특별전시 준비
* 마곡사, 수덕사, 동학사, 갑사 등 지역 내 주요 사찰과 협업하여 불교 문화재 관련 조사, 연구, 전시 추진
3-10. 유관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 및 협력 활성화 |
□ 협력기관 공동 프로그램 운영 <박물관 꿈상자>
ㅇ (내용) 지역 내 박물관·미술관에 진로체험 교육상자 <박물관 꿈상자> 대여하여 공동 교육프로그램 운영
ㅇ (대상) 대전·세종·충남지역 소재 박물관·미술관
ㅇ (기간) 2024. 3.~7.(월 1개 기관 대여)
□ 백제문화유산 주간 운영
ㅇ (내용) 백제문화유산에 대한 홍보를 위해 지역 내 유관기관(문화재청, 박물관, 지자체, 백제문화유산센터 등)과 협력하여 다양한 문화행사 및 교육프로그램 운영
ㅇ (기간) 2024. 6월 예정
※ 추진일정
세 부 내 용 |
월 별 일 정 |
||||||||||||
1 |
2 |
3 |
4 |
5 |
6 |
7 |
8 |
9 |
10 |
11 |
12 |
||
교과서에서 나온 문화유산 |
계획수립 |
||||||||||||
사업 설명회 |
|||||||||||||
교과서 분석 및 교육지원청 협의 |
|||||||||||||
활동지 편집 및 제작 |
|||||||||||||
기념품 제작 |
|||||||||||||
각급 학교 배포 및 진행 |
|||||||||||||
결과보고 |
□ 국제교류
ㅇ 한·중, 한·일 학술교류 증진 및 유관기관 인적교류 실시
- (중국) 남경시박물총관기관 학술교류 재협약 추진(‘24. 5.)
- (일본) 규슈국립박물관 학술 인적교류 진행(‘23. 5.~7.)
ㅇ 웅진시기 백제 대외교류 관련 해외 자료 조사 추진
- (중국) 육조시대 유물, 유적 조사 추진(‘24. 상반기)
- (일본) 웅진백제 문화 관련 유물, 유적 조사 추진(‘24. 하반기)